한눈에 보는 핵심 정리

음운 변동 중 첫 번째는 교체 중에서도 '음절의 끝소리 규칙'입니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음절'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요,

음절은 홀로 발음할 수 있는 최소의 단위를 말하는데, 보통 한글의 한 글자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 음절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처음에 오는 것이 초성

가운데 모음이 중성

받침이 종성이 됩니다.

 

이 받침, 종성을 음절에서 끝에 오는 소리라고 해서 끝소리라고 합니다.

즉, 음절의 끝소리라고 하면 바로 이 종성, 받침의 소리를 의미하는 것이지요.

 

한국어에서는 이 음절의 끝소리에 올 수 있는 소리가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로 제한되어 있는데 이를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라고 합니다.

 

이건 어떠한 예외도 허용하지 않는 아주 강력한! 한국어 음운 변동인데요,

안울림소리를 받침(종성)으로 발음할 때에 공기를 막으면서 발음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밥'을 생각해보면, 처음 '바'의 /ㅂ/(초성)을 발음할 때에는 입술이 열리지만,

받침의 /ㅂ/(종성)을 발음할 때에는 입술이 열리지 않고 닫혀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파열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미파음이라고도 하는데요, 이렇게 공기를 막으면서 발음하게 되면, 공기의 양이 중요한 거센소리나 된소리가 표현되지 못하고 따라서 예사소리만 대표로 나타나게 됩니다.

 

ㅋ이나 ㄲ이 받침으로 올 때에 ㄱ으로 발음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하지요.

 

이에 따라

ㅍ, ㅃ -> ㅂ

ㅌ, ㄸ -> ㄷ

ㅋ, ㄲ -> ㄱ 으로 소리가 나게 됩니다.

 

여기에 더해서 마찰음과 파찰음에 경우에도 공기가 막혀서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소리가 나오지 못하고, 이에 따라 같은/가까운 위치의 소리인 'ㄷ'으로 나게 됩니다.

 

정리하면 

 

ㅂ, ㅍ, ㅃ ----> ㅂ

ㄷ, ㅌ, ㄸ, ㅅ, ㅆ, ㅈ, ㅊ, ㅉ, ㅎ ----> ㄷ

ㄱ, ㅋ, ㄲ ----> ㄱ

 

으로 나게 되는 것이지요. 울림소리인 ㄴ, ㄹ, ㅁ, ㅇ은 자기 소리 그대로 발음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7가지의 종성을 쉽게 기억하기 위해

'가나다라마바앙' / '가느다란물방울'과 같이 기억하기도 합니다.

Posted by 아하블라

 

한눈에 보는 핵심 정리

자음의 서열이라는 말이 좀 어색하긴 한데요,

정확히는 '음운론적 강도'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음운론적 강도라고 하는 것은 자음의 성격이 얼마나 강한가를 말하는 것인데요, 즉 공기가 얼마나 강하게 방해를 받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개성이 뚜렷하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은데요,

 

대체로 

"거센/된소리 > 예사소리 > 비음 > 유음"

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거센소리나 된소리가 더 자음의 특징을 강하게 지니고 있고, 비음과 유음이 상대적으로 모음에 가깝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음운론적 강도가 다르고 발음을 보다 편하게 하기 위해 여러 음운 변동이 발생하는데요,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음운의 변동을 살펴볼 때에는 음운의 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종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첫 번째는 교체(대치)로,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체의 경우에는 음운의 개수는 변하지 않고 그대로지만 그 종류만 달라지게 됩니다. 'ㄱ'이 'ㅇ'이 되거나, 'ㅌ'이 'ㄷ'이 되거나 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 이후에 나올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두 번째는 탈락으로, 한 음운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음운의 개수만 줄어드는 경우인데요, 자음군단순화, ㅎ탈락, ㅡ탈락, 동일 모음 탈락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세 번째는 첨가로, 한 음운이 생기는 것입니다. 탈락과 반대로 음운의 개수가 늘어나는 경우인데요, ㄴ첨가, 반모음 첨가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마지막 네 번째는 축약으로,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제삼의 음운으로 바뀌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축약은 음운의 종류도 달라지고, 개수도 줄어드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요, 거센소리되기나 모음 축약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음운 변동이 나타나는 상황을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조건 혹은 적용 환경이라고 합니다.

 

즉, 음운 변동은 일어나기 전과 후, 일어나는 조건을 살펴봐야 합니다.

      A       →       B

    (입력형)             (출력형)

 

이때, 변동 전의 바뀌는 음운을 '입력형', 변동 후의 바뀐 음운을 '출력형'이라고도 합니다.

 

 

 


 

2021.06.29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1. 음성과 음운

2021.06.30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2. 최소대립쌍과 변이음

2021.07.01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3. 음운의 구성

2021.07.02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4. 발음기관

2021.07.05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5. 단모음 체계

2021.07.06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6. 반모음과 이중모음

2021.07.07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7. 자음체계

Posted by 아하블라

 

한눈에 보는 핵심 정리

지난 번 단모음 체계에서 이중모음은 단모음과 달리 입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한다는 얘기를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중모음은 이름대로 이중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인데요, 즉 반모음과 단모음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모음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반모음은 반만 모음인 경우로, 모음과 유사한 성질을 지니지만 홀로 쓰일 수 없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요,

한국어에는 y[j]와 w가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 y는 ㅣ랑 w는 ㅗ/ㅜ랑 비슷한데요, 이 y랑 기존의 단모음과 합쳐져 이중모음이 됩니다.

 

y가 합쳐질 때에는 단모음에서 선이 하나씩 추가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y + ㅏ = ㅑ

y + ㅓ = ㅕ

y + ㅗ = ㅛ

y + ㅜ = ㅠ

y + ㅔ = ㅖ

y + ㅐ = ㅒ

ㅡ + y = ㅢ

 

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 다만 'ㅢ'만 좀 특이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ㅢ'는 다른 이중모음과 달리 반모음이 뒤에 결합하기 때문입니다. 잠시 뒤에 이를 조금 더 다루기로 하고,

 

w랑 합쳐질 때에는 ㅗ/ㅜ가 결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w + ㅏ = ㅘ

w + ㅓ = ㅝ

w + ㅐ = ㅙ

w + ㅔ = ㅞ

 

와 같은 형태가 되지요. 

 

이중모음들을 살펴보면 반모음이 대체로 단모음보다 앞에 나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ㅢ'만 단모음 뒤에 반모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순서에 따라

반모음 + 단모음 = 상향 이중모음

단모음 + 반모음 = 하향 이중모음 

이라고 합니다.

 

한국어의 하향 이중모음은 'ㅢ' 하나뿐인데, 발음이 쉽지 않아 다른 형태로 발음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우리의 시간'에서 '의'를 [ㅔ]로 많이 발음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하지요.

 

* 참고로 'ㅢ'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여러 견해 차이가 있습니다.


2021.06.29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1. 음성과 음운

2021.06.30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2. 최소대립쌍과 변이음

2021.07.01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3. 음운의 구성

2021.07.02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4. 발음기관

2021.07.05 - [유튜브 - 국어파뤼/만화로 보는 문법] - [만보문] 5. 단모음 체계

 

Posted by 아하블라
이전버튼 1 2 3 4 5 ··· 9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국어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를 올리고 있어요~ 유튜브, 게임 등에서 국어 공부를 해봐요!
아하블라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