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뇌 - 실어증

 

* 실어증: 뇌 손상으로 인해 언어의 표현과 이해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

- 실어증 연구를 통해 좌반구에서 언어를 관장한다는 것이 알려짐

 

브로카 실어증: 뇌의 브로카 영역’(왼쪽 앞부분)의 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로, ‘기능어’(조동사), 문법적인 형태소 등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것. , 의미가 없는 문법적인 요소를 말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음. 의미 전달은 가능

 

베르니케 실어증: 뇌의 베르니케 영역’(왼쪽 뒷부분)의 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로, 억양이나 발음 등을 잘 하지만 의미없는 말을 중얼거림. 또한 언어이해 자체에 어러움을 겪음

 

아노미아 실어증: 좌반구의 중심부분 쪽 손상과 연관된 언어장애로, 비교적 말은 유창하고 완전하게 하지만 낱말을 찾는 데에 어려움을 겪음.

 


참고 비문학 지문


- 2020학년도 수능 대비 EBS 수능특강 p.15~16 ‘언어 능력과 뇌

- 2020학년도 고1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16~21 ‘실어증과 뇌





#뇌량 #편측화(편재화)



* 뇌량: 좌우의 대뇌반구가 만나는 부분으로, 좌뇌와 우뇌의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신경다발

 - ‘뇌들보’라고도 함


사진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87%8C%EB%9F%89



* 뇌량은 좌뇌와 우뇌의 거의 모든 겉질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정보를 교환함

 = 다리 역할

* 최근 연구에 따르면 뇌량의 부위에 따라 교환되거나 교통되는 정보에 차이가 있음.


◎ 이는 우리의 뇌가 편측화(편재화)되어 있기 때문

 - 편측화(편재화): 뇌의 두 반구(좌반구, 우반구) 중 하나의 반구가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함

 예) 좌반구: 신체 오른쪽 + 수학, 과학, 언어, 글쓰기, 논리 등 합리성 관련

    우반구: 신체 왼쪽   + 비언어적 심상, 유머, 예술, 형태, 종합, 공상 등 직관성 관련

 △ 좌반구가 우반구에 비해 언어의 측면에서 우세한 것으로 널리 알려짐. 단, 우반구가 아예 언어 능력에 관여하지 않는 것은 아님

 △ 우반구가 좌반구에 비해 행복이나 슬픔과 같은 정서를 지각하는 데에 우세한 것으로 알려짐. 공간 관계를 이해하는 것 역시 우반구가 뛰어난 모습을 보임. 

  ∮성별에 따른 편재화 차이도 있는 것으로 보임.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언어에서 더 편재화되어 있음. 

    예) 남성은 왼쪽 귀로 들은 것보다 오른쪽 귀로 들은 단어에 더 정확하게 주의를 기울임

        반면 여성은 두 반구 모두를 적절히 사용

  -- 편재화 관련 다음 링크 참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215&cid=41991&categoryId=41991


* 참고 웹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7886&cid=40942&categoryId=32319

- 뇌량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647&cid=51006&categoryId=51006

- 의학적 정보 ‘뇌들보’

https://youtu.be/GjZwoKti2uY

- 뇌량 장애

https://youtu.be/gZoGSmA5mag

- 편측공간무시

https://youtu.be/aCv4K5aStdU

- 뇌량이 없는 경우에서의 사물 알아보기 실험




◐ 편재화의 또 다른 연구 사례

 “뇌를 가른 사람의 왼손에 사과를 놓고 눈을 가리면, 그 사물을 말로 나타내지 못했다. 오른쪽 뇌는 사과를 느끼며, 사과와 다른 사물을 구별할 수는 있지만, 그 정보를 왼쪽 뇌로 보내어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같은 실험으로 다시 오른손에 바나나를 놓으면, 바나나를 말로는 나타낼 수 있지만, 사과는 여전히 말로 나타내지 못하는 것이다.” (빅토리아 프롬킨, 로버트 로드만 저, 박재양 역, 『언어란 무엇인가』, 1987, 시인사, p.488)

  - 둘로 갈라듣기 “실험대상자는 이어폰을 통해서 동시에 두 가지 다른 소리를 듣는다. 보기하면 한쪽 귀에는 boy, 다른 한쪽 귀에는 girl이라든가 (중략) 각각의 귀에 무엇이 들렸는가를 대답하라고 하면, 그 자극이 본래 언어적인 것(낱말이나 만들어 낸 무의미한 음절 등)은 오른쪽 귀(왼쪽 뇌)에 준 자극에 대한 반응쪽이 올바른 경우가 많고, 비언어적인 소리(음악의 가락이나 환경의 소리 등)는 왼쪽 귀(오른쪽 뇌)쪽이 올바른 반응을 하는 경우가 많다. 곧 실험대상자가 오른쪽 귀로 boy, 왼쪽 귀로 girl이란 말을 들은 경우, 오른쪽 귀에서 들은 말을 올바르게 회답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오른쪽 귀로 기침소리, 왼쪽 귀로 웃음소리를 들으면, 웃음소리의 자극쪽을 올바르게 회답하는 경우가 많다.”(위의 책 p.491)





Posted by 아하블라


많은 분들이 아실 유명한 소설 작품인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입니다.


<만복사저포기>는 김시습의 <금오신화> 중 하나인데요, <금오신화>의 작품 중 <이생규장전>과 더불어 가장 유명하고 문학적인 가치 또한 높은 작품이기도 합니다. <금오신화>는 대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로 인정받고 있지요.


이 작품은 생사를 초월한 사랑을 다루고 있는데, 이러한 점이 부당한 세계의 횡포에 맞서고 이를 고발하고자 하는 작가 의식의 반영으로 보기도 합니다. 김시습은 생육신 중 한 명으로, 세조가 단종을 폐위시킨 것에 대해 분개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의리와 정절을 강조한 모습을 통해 '도덕성'을 강조하려고도 한 것이지요.


이 작품은 시를 삽입하고 있는 것 또한 특징인데, 이를 토대로 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 작품의 작가인 김시습은 승려가 된 사람인 만큼, 이 소설에도 불교적 사상이 많이 들어가 있는데요, 윤회 사상이나 인연 등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수능에는 2010년 수능 때에 출제가 되었습니다.


모의고사의 경우에는 평가원 모의고사에는 나오지 않았고, 교육청 모의고사에서만 세 번 출제되었는데요,


2016년 10월 고3 학평

2007년 6월 고2 학평

2006년 9월 고2 학평


때에 출제가 되었습니다. <만복사저포기>는 길이가 긴 소설은 아닌 만큼, 전문을 읽어보셔도 좋고, 역대 출제된 내용만 풀어보셔도 어려움이 없지 않을까 싶네요.

Posted by 아하블라

#다이너모 이론


- 자구 자기장 설명 모델

- 발전기를 돌릴 때 유도 전류가 발생해 자기장이 생기는 원리와 비슷하다는 이론

  ○ 다이너모: 발전기와 비슷한 장치

- 과정

 1. 액체상태인 외핵은 철과 니켈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부와 하부의 온도 차이가 있어 대류가 발생

 2. 철과 니켈이 움직임에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하며, 이 때문에 외핵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

 3. 지구 자전으로 외핵의 물질이 원운동하여 다시 유도전류가 발생해 지구 자기장 형성


☆ 2020학년도 EBS 수능특강 독서(과학06) p.141 참고


◇참고 웹사이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36962&cid=60217&categoryId=60217 http://study.zum.com/book/14737



#서브스톰


- 자기장의 ‘꼬리’로부터 지구 자기권에 저장된 태양풍 에너지가 폭발적으로 방출되어 나타나는 현상

- 오로라 형성 과정 by 서브스톰

  ① 지구 자기장에서 태양쪽 부분들은 자기 꼬리로 휩쓸려 가거나, 끊어지게 됨. 

  ② 자기꼬리에서 자기압력이 증가하면서 중성지점이 형성될 때까지(자기력선이 재결합할 때까지) 플라스마 판을 누름.

  ③ 중성지점 안에서는 자기 재결합이 일어남

  ④ 이때 지구 쪽으로 가는 자기력선이 발생되며 플라스마 입자들을 가속시킴. 

  ⑤ 이 입자가 극지방의 고층대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오로라.

- ‘부폭풍’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일반적으로 ‘storm’이라 불리는 지자기 폭풍보다 훨씬 작은 규모이기 때문

 □ 지자기 폭풍은 비교적 드물며, 며칠에 걸쳐서 일어나며 전 지구 어디에서나 관측 가능하나, 서브스톰은 비교적 자주 발생하고 주로 극지방에서만 수 시간 동안만 나타남. 또한 지자기 폭풍은 많은 양의 이온을 외부 복사대로 유입시키지만 서프스톰은 많이 유입시키지 않음



◇참고 웹사이트

https://www.youtube.com/watch?v=JZcSEdz54k0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8%A4%EB%A1%9C%EB%9D%BC%EC%9D%98-%EB%B9%84%EB%B0%80-%ED%92%80%EB%A0%B8%EB%8B%A4

https://www-spof.gsfc.nasa.gov/Education/wsubstrm.html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7452&cid=62801&categoryId=62801

Posted by 아하블라
이전버튼 1 2 3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국어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를 올리고 있어요~ 유튜브, 게임 등에서 국어 공부를 해봐요!
아하블라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