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4. 16. 14:08 EBS 2021 수능특강 참고자료
과학기술3 - 기후되먹임, 복사수지
#기후되먹임
기후되먹임: 기후 시스템 안에 존재하는 각 과정들 사이에서 처음의 과정으로 나온 결과가 두 번째 과정의 변화를 촉발하고 이것이 다시 원인이 되어 처음의 과정에 번갈아 영향을 미치게 되는 상호 작용 매커니즘
-- 양의 되먹임: 원래의 과정을 증폭
-- 음의 되먹임: 원래의 과정을 감소
* 예시
- 양의 되먹임 과정
지구 온난화(기온 상승) → 많은 지역의 빙하와 만년설이 녹음 → 햇빛을 반사하는 눈/얼음의 면적↓ → 더 많은 햇빛을 흡수 → 지구 온난화(기온 상승)
- 관련: https://www.dw.com/en/when-nature-harms-itself-five-scary-climate-feedback-loops/a-43649814
- 음의 되먹임 과정
지구 온난화(기온 상승) → 지구 육지와 바다 표면의 물 증발량 증가 → 대기 중에 더 많은 수증기 공급 → 구름의 양 증가 → 많은 햇빛이 구름에 의해 반사 →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햇빛의 양 감소 → 지구 온도 하락
※ 기후민감도
-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보다 높을 때, 이에 따른 전지구평균 표면 온도에서의 변화량에 대한 민감도
- 기후민감도↑: 동일한 양의 대기 중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에 따른 온도 상승이 더 큼
◇ 참고 웹사이트
https://news.joins.com/article/23008397
- 지구 온난화(양의 되먹임) 관련 기사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1/14/2006111460533.html
- 피드백 개념으로 본 지구 온난화
https://www.youtube.com/watch?v=363HhzYzJlA
- 기후 되먹임 현상에 대한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inVZoI1AkC8
- feedback이란 무엇인가
#복사수지
- 지구 에너지 수지의 종류와 값
복사수지: 우주에서 지구로 들어와서 흡수되는 복사 에너지 – 지구가 우주로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
- 양의 값: 지구가 에너지를 축적 = 온도 상승
- 음의 값: 지구가 에너지를 빼앗김 = 온도 하강
※ 실제로는 대체로 평형
§ 위도에 따라 지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양이 크게 다름
- 적도, 저위도 >> 고위도
∵ 적도를 비롯한 저위도 지역은 태양 고도각이 높아 대체로 복사수지가 큼. = 가열되는 효과
∫ 37˚ 정도가 대개 균형점
◈ 자세한 내용은 지구과학I의 ‘지구 기후 변화’ 단원 참조
◇ 참고 웹사이트
http://www.climate.go.kr/home/09_monitoring/intro/rad_intro
- 지표복사수지에 대한 개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02213&cid=64656&categoryId=64656
- 지구복사수지 설명
'EBS 2021 수능특강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기술5 - 언어와 뇌, 뇌량, 편측화 (0) | 2020.05.01 |
---|---|
과학기술4 - 열, 엔탈피, 열용량, 비열 (0) | 2020.04.24 |
과학기술2 - 기초대사량, ATP (0) | 2020.04.14 |
과학기술1 - 들뜬 상태, 바닥 상태 (0) | 2020.04.14 |
과학기술1 - 다이너모 이론, 서브스톰 (0) | 202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