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로의 <옥루몽>은 <구운몽>에 이은 조선 최고의 인기소설이었습니다.


<구운몽>의 영향을 많이 받기도 한 작품이지만 여러 면에서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기도 합니다.



분량 또한 방대해서 소설책 기준으로 약 5권 분량이나 됩니다.

그만큼 서사구조도 크고 여러 갈등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옥루몽>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강남홍과 벽성선의 활약인데요. 많은 경우에 시중에서 줄거리 요약을 할 때에는 처음과 끝부분에 집중을 하고, 전투 장면 등을 생략하다보니 이 둘의 활약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이를 감안해 최대한 이들의 활약을 담아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15분 남짓의 영상에 전체 줄거리와 특징을 모두 담다보니 다소간 생략된 부분이 있는데요, 특히 소설 후반부의 약 책 한 권 정도를 차지하는 양창곡의 자식들의 이야기는 흐름 전개상 다 생략되었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옥루몽>의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1. 여성 영웅의 활약


- 앞서 언급한 대로 양창곡이 표면적인 주인공이지만 실제로는 강남홍, 일지련, 벽성선의 활약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 도교적 성격


- 고전 소설에는 주로 유교와 불교의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데, <옥루몽>에는 유교나 불교뿐만이 아니라 도교의 모습도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신선, 선녀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요.

 


3. 인간 욕망의 긍정


-  이렇게 도교적 성격이 부각되고 있는 것에는 인간 욕망을 긍정하고 있는 작가의 생각이 담겨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구운몽>과 비교했을 때에 가장 큰 차이는 <옥루몽>은 꿈에서 깨어나는 부분이 잘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운몽>의 경우, 꿈에서 깨어나서 현실에서의 부귀영화를 부질 없는 것으로 보는 데에 반해 <옥루몽>에는 그러한 모습이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즉, <구운몽>과는 달리 <옥루몽>은 현실세계에서의 부귀영화를 부정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부귀영화를 누려도 인간은 누구나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래서 죽지 않는 신선, 선녀가 좀 더 부각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4.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


- <옥루몽>에는 작가의 현실 비판 의식 또한 담겨 있습니다. 과거제도나 붕당 정치 등 당대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 의식이 작품 전반에 담겨 있는 것이지요.





<옥루몽>은


2014년 수능

2010년 수능 대비 9월 모의평가


2018년 3월 고3 학력평가

2007년 10월 고3 학력평가



에 출제되었습니다. 과거보다 앞으로가 더 출제될 확률이 높은 작품이니 잘 살펴보세요~



Posted by 아하블라

블로그 이미지
국어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컨텐츠를 올리고 있어요~ 유튜브, 게임 등에서 국어 공부를 해봐요!
아하블라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